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dd view
- kotlin listview
- 코틀린 문자열
- lateinit
- Kotlin Generic
- 코틀린 중첩클래스
- 카카오 순위검색
- collection function
- 코틀린 컬렉션함수
- 내용의동일성
- 객체의 동일성
- 코틀린 람다함수
- kotlin collection
- Kotlin
- 컬렉션함수
- kotlin recyclerview
- 코틀린 제너릭
- 코틀린 lateinit
- 프로그래머스 #탐욕법 #큰수만들기 #join #python
- isNullOrBlank
- 컬렉션 함수
- class
- 해시
- kakao blind
- 프로그래머스
- programmers # 프로그래머스 #큰수비교 #cmp_to_key()
- kotlin addview
- 코틀린 내부 클래스
- 코틀린 data class
- 코틀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6)
엔지니어 규의 IT 프로그래밍 다이어리
흐름제어 코드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는 키워드를 알아보자. 앞에서 우린 return 이라는 키워드를 배웠다. return : 함수를 종료하고 값을 '반환'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복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break 와 continue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break : 반복문 내의 구문이 실행되는 중간에 반복문을 종료하고 즉시 다음구문으로 넘어가는 역할을 함. continue : 다음 반복 조건으로 넘어가는 역할을 함. 1 2 3 4 5 6 7 8 9 10 11 12 fun main(){ for (i in 1..10){ if(i ==3) break print(i) //12 } for (j in 1..10){ if(j==3) continue print(j) //1245678910 } } cs 위 소..
조건문에는 조건형 반복문 과 범위형 반복문이 있다. 조건형 반복문 : 조건이 참인 경우 반복을 유지 범위형 반복문 : 반복 범위를 정해 반복을 수행 조건형 반복문 : While 1 2 3 4 5 6 fun main(){ var a = 0 while(a 5 는 거짓이지만 최초한번 은 실행되어 출력 값은 0 이 나온다. 따라서 조건과 상관없이 반드시 한번은 실행되야 한다면 do while 구문을 사용하면 된다. 범위형 반복문 : Fo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fun main(){ for (i in 1..10){ print(i) //12345678910 } for (j in 1..10 step 3){ print(j) //14710 } for (k in 9 downTo ..
If 문 if문 : if문에 주어진 값이 '참' 일때 따라오는 구문을 실행하는 기능 1 2 3 4 5 6 7 8 fun main(){ var a = 10 if(a > 8) { println("a는 8보다 크다") } else { println("a는 8보다 작거나 같다") }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if( 조건 ) { 참일때 실행되는 실행문 } else { 거짓일때 사용되는 실행문 } 위와 같은 방식으로 If 문을 구성하며 {} 가 있는 이유는 참,거짓일때 수행되는 구문이 2개 이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수행되는 구문이 1개 라면 "if (조건) 실행문" 형식으로 코드를 적어도 무방하다. 비교연산자 = : 크거나 같다 != : 같지 않다 == ..
타입 추론이란? 타입추론 : 변수나 함수들을 선언할 때나 연산이 이루어질때 자료형을 모드에 명시하지 않아도 코틀린이 자동으로 자료형을 추론하는 기능 1 2 3 4 fun main(){ var a : Int = 3 var b = 3 // 타입추론을 통해 Int 로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료형을 추론한다.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Int 외에도 String, Double, Float 등 대부분의 자료형은 변수 할당시 추론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추론을 통해 코드량을 줄일 수 있다. 함수 함수는 특정한 동작을 하거나 원하는 결과값을 연산하는데 사용한다. 아래 소스 코드를 예시로 들어보자. 1 2 3 4 5 6 7 fun main(){ println(add(3,4,5)) } f..
형변환 형변환은 하나의 변수에 지정된 자료형을 호환되는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기능을 의미한다. 코틀린은 자료형 간의 형변환을 지원하기 위해 형변환 함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형변환 함수들은 to 뒤에 변환된 자료형을 받아서 사용하고 있다. toByte() toShort() toInt() toLong() toFloat() toDouble() toChar() 1 2 3 4 5 fun main(){ var a : Int = 12345 var b : String = a.toString() // 정수 자료형인 a 를 문자 자료형으로 바꿈 println(b)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위 코드 처럼 형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Int형 변수의 toString() 함수를 호출하여, St..
코틀린의 클래스 이름은 파스칼 표기법(모든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 예: Class Name 함수나 변수 이름은 첫 단어만 소문자로 시작하는 카멜 표기법을 지향한다. 예: functionName 코틀린은 변수를 두가지 방법으로 선언 1 2 3 4 5 6 fun main(){ var a : Int = 4 // 변경가능 val b : Int = 4 // 변경불가능 println(a) println(b) } cs var 변수 : 자료형 = value 형태로 자료를 선언한다. var :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변수로 언제든지 읽기 쓰기가 가능함 val : 선언시에만 초기화 가능 하며 중간에 값을 변경할 수 없음 그러므로 runtime 시에 변하지 말아야 할 값은 val 로 선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변수는 선언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