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collection function
 - 코틀린 람다함수
 - kotlin recyclerview
 - 코틀린 data class
 - Kotlin
 - kakao blind
 - 컬렉션 함수
 - 컬렉션함수
 - add view
 - 코틀린 컬렉션함수
 - isNullOrBlank
 - 코틀린
 - programmers # 프로그래머스 #큰수비교 #cmp_to_key()
 - 코틀린 중첩클래스
 - 코틀린 제너릭
 - lateinit
 - 카카오 순위검색
 - 코틀린 lateinit
 - kotlin addview
 - Kotlin Generic
 - 객체의 동일성
 - kotlin listview
 - 프로그래머스 #탐욕법 #큰수만들기 #join #python
 - class
 - kotlin collection
 - 프로그래머스
 - 해시
 - 코틀린 내부 클래스
 - 내용의동일성
 - 코틀린 문자열
 
													Archives
													
											
												
												- Today
 
- Total
 
엔지니어 규의 IT 프로그래밍 다이어리
[Kotlin]3. 타입 추론과 함수 본문
728x90
    
    
  타입 추론이란?
타입추론 : 변수나 함수들을 선언할 때나 연산이 이루어질때 자료형을 모드에 명시하지 않아도 코틀린이 자동으로 자료형을 추론하는 기능
| 
 1 
2 
3 
4 
 | 
 fun main(){ 
    var a : Int = 3 
    var b = 3 // 타입추론을 통해 Int 로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료형을 추론한다. 
} 
 | 
cs | 
Int 외에도 String, Double, Float 등 대부분의 자료형은 변수 할당시 추론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추론을 통해 코드량을 줄일 수 있다.
함수
함수는 특정한 동작을 하거나 원하는 결과값을 연산하는데 사용한다.
아래 소스 코드를 예시로 들어보자.
| 
 1 
2 
3 
4 
5 
6 
7 
 | 
 fun main(){ 
    println(add(3,4,5)) 
} 
fun add(a : Int, b: Int, c : Int): Int { 
    return a + b + c 
} 
 | 
cs | 
코틀린에서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un 함수명(변수 : 자료형) : 반환형{
원하는 계산
}
반환형은 반환될 값의 자료형을 의미하며, 반환값이 없을시 생략해도 무방하다.
위에서는 a,b,c 를 더하는 함수를 만들고 싶으므로 return a + b + c 를 써준다.
함수에서 return 은 뒤에오는 값을 반환하는 키워드로 return 이 발생하면 함수의 중간이더라도 함수를 종료한다.
함수를 실행하고 싶을때는 main 구문 안에서 실행을 시켜야 하며,
add(3,4,5) 처럼 함수명(변수,변수...) 형식으로 선언한다.
그런데 이러한 함수는 굉장히 단순한 역할을 하므로 이럴때는 함수를 간단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단일 표현식 함수 라는것을 사용한다.
단일표현식함수를 사용하면, 위에서 만든 add 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함수를 마치 변수에 결과 값을 할당하듯 만들 수 있다.
| 
 1 
 | 
 fun add(a : Int, b: Int, c : Int) = a + b + c 
 | 
cs | 
여기서 보이는 것처럼 식을 할당하여 만들 수 있으며,
단일 표현식 함수는 타입추론이 가능하므로 반환형을 생략해도 된다.
728x90
    
    
  '프로그래밍 언어 > 코틀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otlin]6. 흐름제어와 논리 연산자 (0) | 2022.05.04 | 
|---|---|
| [Kotlin]5. 반복문과 증감연산자 (0) | 2022.05.04 | 
| [Kotlin]4. 조건문과 비교 연산자 (0) | 2022.05.01 | 
| [Kotlin]2. 형변환과 배열 (0) | 2022.04.29 | 
| [Kotlin]1. 변수와 자료형 (0) | 2022.04.28 | 
			  Comments